반응형 추억3 흘려 보내기 수 많은 어제 중에... 추억은 기억의 저장소에 담아두고 버려야 할 어제의... 미련은 기억의 소각장으로 보내라. 흘러간 어제는 영원속으로 사라지는 안개와 같고 흘러올 내일은 오늘안에서 만들어지는 신선한 공기다. 안개같은 지나간 날을 애타게 부르지 말고 신선한 공기를 마시듯 흘러올 하루를 애절하게 맞이하자. 2021. 10. 25. 난 너에게... 나이가 깊어지니 점점 더 한국에 있는 친구들과 동생들이 그리워진다. 물리적 거리가 있어도 마음의 거리는 내 옆집만큼 가깝다 스스로 위로한들, 보고픈 마음은 어쩔 수 없다. 우리 서로들의 시차때문에, 생활에 쫓겨 연락을 예전만큼 못 하지만 가슴 한 켠에 넣어두고 언제나 꺼내보는 든든한 울타리, 나의 친구들과 동생들. 포도주는 시간이 지나면 그 풍미가 깊어지고 맛이 깊어진다고 하는데 오랜 벗들도 그런 것 같다. 세월이 더해질수록 나이가 늘어갈수록 추억이 길어질수록 나의 가장 오랜 친구들이자 동생들에 대한 우정의 향도 포도주처럼 더 익어가고 있음이 확실하다. 그러하기에 굳이 난 너에게, 넌 나에게 어떤 의미인가를 따지지 않아도 우리들의 진한 의미는 계속된다~ 2021. 1. 7. 시골 소녀, 도시 여자를 꿈꾸다. 지금은 넓디 넓은 캐나다 땅에 살고 있지만 나는 자랑스런 한국의 시골 촌뜨기(^^;) 출신이다. 내가 초등학교 2학년, 오빠가 6학년, 우리 가족은 내가 꿈에 그리던 도회지로 이사를 했다. 아니 정확히 표현하자면 '이 주'가 맞을 것이다. 1980년 무렵, 대청댐이 들어온다는 반박 불가의 사유로 거주민들은 거부할 권리도 없이 삶의 터전을 옮겨야 했기 때문이 다 . 대부분의 집들은 살던 곳과 멀지 않은 곳, 새로 형성된 부락으로 들어갔지만 자식들의 교육열이 나름 높았던 우리 부모님은 그 참에 몇해 전, 큰 딸(당시 중3)을 유학시켜 놓은 대전을 선택해 거국적 이주를 하셨다. 내 어릴 적 기억에 엄마는 오빠와 나를 데리고 한달에 한 번 정도, 언니를 보기 위해 대전에 나갔었는데 그때마다 철부지 '나'는 대전.. 2020. 11. 2. 이전 1 다음 반응형 SMALL